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

(5)
산성역자이푸르지오_타입 한눈에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김완수 변호사 입니다. 내일부터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산정자이푸르지오 청약이 시작됩니다. 어떤 타입을 선택해야 하는지 이제부터 진정한 눈치게임이 시작되는듯 합니다. 지금까지 어디를 해야겠다고 생각해왔다가도, 막상 청약일이 되어서 당첨을 위해서, 당첨이후 생활편의를 위해서 끝없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산성자이푸르지오 공식홈페이지나 기타 여러 경로로 단지배치가 알려지고 있습니다. 저는 타입별 평면도와 어느동에 어떤 타입들이 일반분양물량으로 공급되고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선 단지조감도입니다. A1, A2, A3 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는데 각 블럭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A1블럭 신흥역에서 가깝고 산성역에서는 가장 먼 위치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희망대초와 가장 가까운 위치 A1블럭..
임대차 3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김완수 변호사 입니다. 오늘은 2020. 7. 31. 국회를 통과하여 예외적으로 공포즉시(2020. 7. 31.) 시행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다만 이번에 통과된 내용은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 상한제를 핵심으로 한 내용이고, 아직 임대차신고제는 통과되지 않아서 임대차 2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도입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계약갱신요구권(2+2법)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 3 신설 2. 전월세상한제(5% 상한제)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 제2항 신설 1. 계약갱신요구권(이른바 2+2법) 가. 계약갱신요구권의 내용 계약갱신요구권은 임대인이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종료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계약갱신을 요구하는 경우..
산성역자이푸르지오_입주자모집공고분석(일반공급) 안녕하세요, 김완수 변호사 입니다. 성남 구도심 산성역 인근 신흥2구역 재개발구역에 건축중인 산성역센트럴자이푸르지오 일반분양의 입주자모집공고가 나왔습니다. 공고일은 2020. 7. 21. 화요일이었는데 입주자모집공고문 중 일반공급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공급위치와 공급대상 공급위치: 성남 수정구 공원로 382번길 36-1 공급대상: 성남신흥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주택 4,774세대 중 1,718세대 일반분양 (51㎡ 38세대 / 59㎡ 606세대 / 74㎡ 996세대 / 84㎡ 78세대) 일반공급이란?? 일반공급이란 일반분양물량 중 특별공급되는 물량을 제외한 공급을 말합니다. 소득기준이나 자산기준이 충족되지 않는경우 공공분양에서는 일반공급 중 전용면적 60㎥를 초과하는 물량에 지원하는것 외에는 방법이 없..
내집마련프로젝트 - 청약제도의 이해 “대박, 옆집 701호 이번에 푸르지오 새로 분양하는데 당첨되었다던데, 벌써 프리미엄만 3억이래”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청약에 당첨되기만을 기다리며 오늘도 새로운 청약공고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를 전할 주제는 청약제도의 첫번째 이야기로 청약제도의 기초상식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아파트 공급 프로세스 아파트의 공급방법은 택지개발방식인지, 재건축방식인지 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입주권 취득 단계 재건축 조합원 등의 지위에서 입주권을 통한 공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일반분양 단계 일반분양 입주자모집공고를 기준으로 하게되며 사업주체 및 주택의 종류에 따라서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에 따른 공공분양과 일반분양 ..
내집마련 프로젝트 "수시로 바뀌는 부동산정책, 갈피를 못잡겠다" 하루가 다르게 부동산시장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수시로 새로운 대책을 내놓고, 실수요자는 시시각각 바뀌는 정책, 공공분양에 민간분양에, 특별공급이 뭔지, 일반공급은 뭔지, 알수없는 용어들과 어려운 분양공고로 부적격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집한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 자녀들만큼이라도 내집마련에 성공할 수 있게 해주고 싶은데, 어떤 계획으로 준비를 해야하는지 너무도 막막한 상황입니다. 정말 갈피를 못잡고 보면 볼수록 불안하기만 합니다. "현직 변호사도 어렵다" 저도 싱글일 때는 부동산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결혼을 하게되고, 전세를 옮겨다니게 되고, 자녀를 낳고 커가는 모습을 보면서 슬슬 내집마련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